본문 바로가기

구약

성경의 명절

본 글에서는 신구약 성경에 나오는 이스라엘의 명절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이스라엘의 명절은 농업, 종교와 관련이 깊습니다. 유대의 명절은 음력을 사용하는데 이스라엘의 음력은 한국보다 1개월 정도 빠릅니다. 유월절과 오순절, 초막절이 3대 명절입니다. 유월절은 무교절과 초실절, 오순절로 이어지고, 초막절은 나팔절과 속죄일로 연결됩니다. 이 모든 명절을 합치면 7대 명절이 됩니다. 

 

  • 유월절: 예수의 피로 죄를 씻다                                                                                                                                            유월절은 이집트에서 해방되어 나온 날을 기념하여 하나님이 처음으로 제정하신 절기로 구원의 날입니다. 농업적으로 첫 수확이 시작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넘어간다'는 뜻을 가진 유월절에 어린양의 피가 문설주에 발린 집은 구원받았듯이 어린양 예수의 피로 죄씻음 받은 사람은 하나님께서 죄를 간과하시고 구원하십니다.                                                                                         
  • 무교절: 하나님 백성으로 나오다                                                                                                                                          유대력 니산월(음력 1월) 14일 유월절 이후 한 주간 내내 누룩이 없는 빵인 무교병을 먹습니다. 이스라엘이 유월절 어린양의 공로로 거룩하게 되어 하나님의 백성으로 나옴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 초실절: 예수 부활하신 날                                                                                                                                                    출애굽기에서는 초실절을 칠칠절인 오순절과 동일시합니다. 그러나 레위기에서는 초실절을 무교절 기간 안식일 후 첫날이라고 분명히 하였습니다. 이후 7번의 안식일 뒤에 오순절을 지키라고 합니다. 초실절은 무교절 기간 안식일 다음 날 요일로 지킵니다. 초실절에는 곡식을 첫 번째 수확하여 한 단을 드리고 50일 동안 이 예식을 계속합니다. 초실절은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날이기도 합니다. 첫 열매를 거두는 절기에 예수님께서 부활하셔서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습니다.                              
  • 맥추절 (칠칠절,오순절): 성령님이 임하신 날                                                                                                                      오순절은 초실절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초실절부터 밭에서 매일 곡식 한 단씩 베어 하나님께 드리다가 7주 후 50일째 되는 날 이 예식을 마무리합니다. 무교절 기간 안식 후 첫날부터 7주를 세어 49일 뒤 50일째에 지키는 절기이므로 칠칠절 또는  오순절입니다. 우기인 겨울 동안 농사지은 보리를 수확하는 시기여서 맥추절이라고도 합니다.                                                    
  • 나팔절: 예수 재림을 예표                                                                                                                                                    유대력 티쉬리월(음력 7월) 1일입니다. 유대인의 새해 첫날로 나팔을 불어 알립니다. 출애굽 당시 유월절이 있는 달이 1월로 정월에 해당하나 바벨론 포로기 이후 7월을 새해의 시작으로 여겼습니다. 이 날 창조 사건을 기억하면서 말씀을 읽는 기억의 날로 지킵니다. 왕과 지도자가 정기적으로 하나님 말씀을 낭독하는 절기이기도 합니다.                                                                 
  • 속죄일 (욤 키푸르): 예수 죽으심의 의미                                                                                                                              유대인은 유대력 7월 10일을 가장 경건한 날로 지킵니다. 한 해의 잘못을 모두 회개 정리합니다. 이때 아사셀 염소가 백성의 죄 값을 대신합니다. 매년 이 날에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과 피로써 계약을 갱신합니다.                                                       
  • 초막절(장막절): 최후 심판 때 혼인 잔치를 예표                                                                                                                   초막절은 한국의 추석과 같은 날입니다. 7월 1일부터 시작되는 회개는 10일 대속죄 일에 마무리되고, 속죄일 다음부터는 축제를 준비합니다. 출애굽 후 광야 생활을 기념하는 절기로 유대력 티쉬리월(음력 7월) 15-21일에 지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집 주변에 초막을 만들고 남자들은 허술한 초막 지붕 안에서 한 주간 생활을 합니다. 

이스라엘의 절기

'구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위기 6장 본문과 해설  (0) 2025.07.02
구약의 5가지 제사 비교  (0) 2025.05.25
레위기 5장 본문과 해설  (2) 2025.05.17
레위기 4장 본문과 해설  (5) 2025.05.02
레위기 3장 본문과 해설  (2)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