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 썸네일형 리스트형 여호수아 24장 여호수아의 두 번째 고별설교이자, 세겜에 모인 온 백성을 상대로 선포한 메시지를 요약하고 있는 본문은 다음과 같이 구분될 수 있습니다: (1) 서론 및 과거 회상(24:1-13), (2) 언약 확인(24:14-24), (3) 언약 봉인(24:25-28), 중심 주제는 여호와께 충성하라는 여호수아의 권면과 이스라엘의 다짐입니다. 24:123장에 이어서 여호수아는 다시 한번 고별 연설을 하기 위해 이스라엘의 각 지파 지도자들을 세겜에 소집하였습니다. 특별히 소집장소를 에발 산과 그리심 산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세겜으로 정한 데에는 다음과 같은 큰 역사적 의의가 그곳에 있기 때문입니다. 즉 '세겜'(Shechem)은 (1) 일찍이 아브라함이 가나안 땅에 들어와서 처음으로 제단을 쌓은 성스러운 곳이며(창 12.. 더보기 여호수아 23장 여호수아서의 마지막 두장은 여호수아서의 중심인물인 여호수아의 고별 설교를 담고 있습니다. 그는 이 두 편의 설교를 남기고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이 두 설교의 내용이 비슷하다고 하여 일부 주석가들은 여호수아가 한번 설교한 것을 저자가 이처럼 두 번 한 것으로 묘사한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이 두 설교가 동일한 것을 반복한 것이라고 생각하기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습니다. 첫째, 23장의 설교는 미래지향적인 반면, 두 번째 설교는 지난날 하나님께서 베풀어 주신 은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둘째, 처음 설교는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반면, 나중 설교는 온 이스라엘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셋째, 첫 번째 설교는 실로에서 선포되었지만 두 번째 설교는 세겜에서 선포되었습니다. 넷째, 첫 번째 설교에 대해.. 더보기 여호수아 22장 여호수아 22장은 다음 세 단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요단 동편의 병사들의 귀환(22:1-9) 2. 요단 강가에 세운 제단(22:10-20) 3. 불식(拂拭)된 지파 간의 오해(22:21-34) 1. 요단 동편의 병사들의 귀환(22:1-9) 가나안 정복과 지파별 분배가 일단락된 뒤, 여호수아는 요단강 동쪽에 정착한 지파들로부터 온 군대를 집으로 돌려보냈습니다.22:1그 때에 - 이 때는 요단 도하 후 약 7년이 지난 때로(14:20), 곧 레위 지파에게 48 성읍과 목초지를 분배해 주는 것(21장)을 끝으로 요단 서편의 가나안 땅 분배가 완전히 끝났을 때를 가리킵니다. 22:3르우벤, 갓, 므낫세 반 지파에서 뽑힌 용사 40,000명 가량이 처음 요단 강을 건넌 때는 출애굽 만 40년째 되는 정.. 더보기 여호수아 21장 레위 사람들의 도시들레위지파는 다른 지파들처럼 한 지역을 유산으로 받지 못하고 이스라엘 전체의 성읍들에 흩어져 살았습니다. 레위지파에게는 가축을 먹이는 들과 48개의 성읍이 주어졌습니다. 이스라엘의 12지파는 지파당 4 성읍을 내놓아 총 48 성읍을 레위 사람들에게 주었습니다. 48개의 성읍 중에는 6개의 도피성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레위지파는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를 준비했고 율법을 가르쳤습니다(신 33:10). 그들은 물려받은 것이 없었기 때문에 하나님께 드리는 십일조로 살아갔습니다. 21:5 야곱의 모든 후손들은 각 지파별로 기업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 대한 특별한 사역을 감당하는 레위지파는 각 가족별로 기업을 할당받았습니다. 21:4-8 레위지파에게 할당된 48개의 성읍이 레위의 세 아들의.. 더보기 여호수아 20장 도피성 각 지파에게 땅분배가 모두 끝났습니다. 그다음 각 지역마다 도피성을 지정하는 것과 각 지파의 유산에서 레위 사람들이 머물며 짐승들을 먹일 수 있는 성읍을 정했습니다. 레위 사람들의 성읍과 도피성들은 연관되어 있습니다. 레위 사람들의 성읍은 48개에 달하는데 도피성은 이 레위 사람들의 성읍들 중 6개를 지정했습니다. 요단강 동쪽에 세 개, 서쪽에서 세 개 등 총 6개의 도피성을 지정하고 누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가를 설명하는 여호수아 20장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도피성에 대한 규례(20:1-3), (2) 도피자에 대한 규례(20:4-6), (3) 도피성들(20:7-9). 1. 도피성에 대한 규례 (20:1-3) 고대 사회에서는 가족이나 친척 중 누가 살해.. 더보기 여호수아 19장 1. 시므온 지파의 기업(19:1-9) 시므온 지파는 유다 지파의 영토 안에 있는 17개 성읍과 주변 마을을 받았습니다. 이 성읍들은 이웃해 있지 않고 흩어져 있었습니다. 19:1 여기서 시므온 지파가 두 번째로 제비를 뽑았다고 하는 것은 아직 기업을 분배받지 못한 일곱 지파 곧 베냐민, 시므온, 스불론, 잇사갈, 아셀, 납달리, 단 지파 가운데서 베냐민 지파에 이어 그다음으로 제비를 뽑았음을 가리킵니다. 시므온 지파는 다른 지파와는 달리 독특하게 다른 지파의 기업 중에서 자신들의 기업을 재분배 받았는데, 곧 유다 지파의 기업 중에서 그 기업을 취했습니다. 이처럼 시므온 지파가 독립된 자신들의 경계를 갖지 못하고, 마치 레위 지파처럼 성읍들만을 유다 지파 가운데서 분배받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더보기 여호수아 18장 베냐민 지파의 기업 여호수아가 이스라엘의 가장 유력한 세 지파에게 땅을 분배한 곳은 여리고 근처에 있었던 길갈이었습니다, 이제 남은 7지파의 땅 분배 이야기는 무대를 옮겨 실로에서 진행됩니다. 실로는 여리고에서 북서쪽으로 24킬로미터 정도 떨어져 있는 곳입니다. 실로는 에브라임 지파에 속한 땅이며, 다윗시대에 이르기까지 종교적으로 매우 주요한 곳이었습니다. 하나님의 법궤가 이곳에 있다가, 엘리 제사장들에 의해 블레셋과의 전쟁터로 옮겨졌고 그 이후 실로는 몰락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18:1 회막은 레위 사람들이 운반하고 다니던 하나님의 장막을 뜻합니다. 일종의 이동식 성전이었던 것입니다. 모세와 이스라엘 사람들이 하나님을 만나기 위해 진영의 바깥쪽에 종종 세웠던 텐트도 회막이라고 불렀습니다. 18:2-3.. 더보기 여호수아 17장 므낫세 반 지파의 기업 이 장은 요셉의 큰 아들 므낫세의 후손들이 차지한 땅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17:3-6 관례적으로 기업은 아들에게만 상속되었습니다. 그러나 슬로브핫은 아들이 없고 다섯 명의 딸들이 있었는데 이 딸들에게 분깃이 돌아갔습니다. 17:12 므낫세 자손이 가나안인을 쫓아내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세가지로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그들은 가나안인을 두려워하여 굳이 피 흘리는 싸움을 하기가 싫었을 겁니다. 둘째, 가나안인들을 종으로 삼음으로써 여러 가지 물질적인 유익을 구하려고 하였을지 모릅니다. 셋째, 하나님의 명령보다는 인정에 이끌려 차마 진멸하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어쨌든 므낫세 자손은 하나님의 명령을 불순종하였으므로 큰 실수를 범한 것입니다. 17:7-13 여기서는 므낫세..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