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
1:1 여호와께서 회막에서 모세를 부르시고 그에게 말씀하여 이르시되
1:2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너희 중에 누구든지 여호와께 예물을 드리려거든 가축 중에서 소나 양으로 예물을 드릴지니라
1:3 그 예물이 소의 번제이면 흠 없는 수컷으로 회막 문에서 여호와 앞에 기쁘게 받으시도록 드릴지니라
1:4 그는 번제물의 머리에 안수할지니 그를 위하여 기쁘게 받으심이 되어 그를 위하여 속죄가 될 것이라
1:5 그는 여호와 앞에서 그 수송아지를 잡을 것이요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피를 가져다가 회막 문 앞 제단 사방에 뿌릴 것이며
1:6 그는 또 그 번제물의 가죽을 벗기고 각을 뜰 것이요
1:7 제사장 아론의 자손들은 제단 위에 불을 붙이고 불 위에 나무를 벌여 놓고
1:8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 뜬 각과 머리와 기름을 제단 위의 불 위에 있는 나무에 벌여 놓을 것이며
1:9 그 내장과 정강이를 물로 씻을 것이요 제사장은 그 전부를 제단 위에서 불살라 번제를 드릴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1:10 만일 그 예물이 가축 떼의 양이나 염소의 번제이면 흠 없는 수컷으로 드릴지니
1:11 그가 제단 북쪽 여호와 앞에서 그것을 잡을 것이요 아론의 자손 제사장들은 그것의 피를 제단 사방에 뿌릴 것이며
1:12 그는 그것의 각을 뜨고 그것의 머리와 그것의 기름을 베어낼 것이요 제사장은 그것을 다 제단 위의 불 위에 있는 나무 위에 벌여 놓을 것이며
1:13 그 내장과 그 정강이를 물로 씻을 것이요 제사장은 그 전부를 가져다가 제단 위에서 불살라 번제를 드릴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1:14 만일 여호와께 드리는 예물이 새의 번제이면 산비둘기나 집비둘기 새끼로 예물을 드릴 것이요
1:15 제사장은 그것을 제단으로 가져다가 그것의 머리를 비틀어 끊고 제단 위에서 불사르고 피는 제단 곁에 흘릴 것이며
1:16 그것의 모이주머니와 그 더러운 것은 제거하여 제단 동쪽 재 버리는 곳에 던지고
1:17 또 그 날개 자리에서 그 몸을 찢되 아주 찢지 말고 제사장이 그것을 제단 위의 불 위에 있는 나무 위에서 불살라 번제를 드릴지니 이는 화제라 여호와께 향기로운 냄새니라
해 설
레위기 1장: 번제
레위기는 가장 기본적인 제물에 대한 규례로 시작합니다. 제물로 드리는 짐승의 모든 것을 제단에서 완전히 불살라 바치는 번제로 사용될 수 있는 짐승은 가축입니다. 번제는 ‘올라가다’라는 동사에서 비롯된 단어로 모든 것을 불살라 연기가 되게 하여 하늘로 올라가게 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습니다. 제물로 드리는 가축은 크기에 따라 수소 등 몸집이 큰 가축과 양, 염소 등 몸집이 작은 가축으로 구분됩니다. 그러나 소나 양 등 값비싼 동물로 제물을 드릴 수 없는 가난한 사람들은 비둘기 등 새를 재물로 드릴 수 있습니다. 1장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서론 (1:1-2)
2. 수소 번제 (1:3-9)
3. 양과 염소 번제 (1:10-13)
4. 비둘기 번제 (1:14-17)
1:3
번제는 백성이 의무적으로 드리는 것이 아니라 자원하여 드리는 것입니다. 제물이 타서 연기나 불꽃이 향기로 드려집니다. 번제는 가장 일반적인 희생제물로 매일 아침저녁으로 하루에 두 번씩 드렸습니다.
1:4
제사를 드리는 자가 자기의 예물을 안수하는 것은 대속물로서의 동물과 자신을 완전히 동일시함을 상징합니다. 번제의 목적은 희생제물을 드린 사람의 죄를 속하기 위한 것입니다.
1:6
가죽을 벗기고- 예물을 드리는 자가 가죽을 벗겼으며 이 가죽은 제사장의 몫으로 돌아갔습니다. 가죽을 벗긴다는 것은 제물을 정결하게 하는 의식의 한 부분이며 인간의 겉 모습을 제거하고 오직 진실한 부분만을 드린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1:15
머리를 비틀어 끊고 - 여기서 '비틀어 끊고'에 해당하는 원어 '말라크'는 '찢다', '쪼개다', '짜르다'란 뜻으로서, 단지 비트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70인역이나 유대 랍비들의 해석처럼 머리를 몸통으로부터 완전히 절단해 버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1:17
향기로운 냄새니라 - 실제 고기 타는 냄새는 향기롭지 못하므로 이말은 문자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여기 '향기로운'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니호아흐'는 '편안한', '안식의'란 뜻으로(출 29:25), 곧 하나님께서 당신의 명령을 따라 그 방법대로 정성껏 희생 제물을 태우는 백성들의 순종의 모습을 기쁘게 여기시고 그 순종의 제사를 흠양하신다는 뜻입니다.
'구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위기 3장 본문과 해설 (2) | 2025.04.29 |
---|---|
레위기 2장 본문 및 해설 (2) | 2025.04.26 |
레위기 개요 (0) | 2025.04.20 |
여호수아 24장 (2) | 2025.02.22 |
여호수아 23장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