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독교교육 & 심리

완벽주의 완벽주의가 심리학의 한 주제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나, 완벽하고자 하는 인간의 바램은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따 먹은 것도 하나님처럼 완전한 자가 되고자 하는 바램에서 비롯된 것은 아닐까요?    삶의 모든 영역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완벽해지려고 노력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닐 것입니다. 완벽하다는 것은 개인이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하는 이상적인 상태이며 촉구해야 할 미덕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결코 완벽해 질 수 없는 인간의 한계를 인정하지 못하고 완벽에 매달려 있는 완벽주의는 교만이며, 스스로를 피곤하게 하고 병들게 합니다. 심리치료사 리처드 윈터(Richard Winter) 교수에 따르면 우리를 둘러싼 허다한 .. 더보기
피그말리온 (Pygmalion) 효과 1. 피그말리온 (Pygmalion) 효과란?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로, 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의 "메타모르포시스"(Metamorphoses)에 등장합니다. 피그말리온은 키프로스 출신의 조각가로 자신이 만든 여인상과 사랑에 빠집니다. 조각상의 아름다움에 반한 그는 신들에게 그 조각상과 닮은 아내를 달라고 간청합니다. 신들은 피그말리온의 요청을 들어주었고 조각상이 살아 있는 존재가 됩니다. 이 신화의 피그말리온의 이름은 후에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불리는 심리학적 개념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다른 사람에 대한 기대나 믿음이 그 사람의 행동과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이는 긍정적인 기대가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음을 말합니다... 더보기
신학적 관점에서 본 지혜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는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추구 가운데 지혜를 추구하는 것이 가장 완전하고 숭고하며 유익하고 즐거움을 주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 이유로, 지혜의 추구에 자신을 바칠 때 인간은 더 완전해지고, 만물을 지혜로 만드신 하나님의 모습에 가장 가깝기에 더 숭고하며, 지혜에 의해 불멸의 영역에 도달하기 때문에 더 유용하고, 지혜의 대화에는 쓴맛과 피곤함이 없고 기쁨과 즐거움만이 있기 때문이라고 그는 설명했습니다(Aquinas, 2005, p. 19). 인류는 수천 년 동안 지혜를 갈망해 왔습니다. 고대의 작가들은 격언집과 우화집 속에 지혜를 담아두려고 애썼고 현대의 학자들은 그 속에 담긴 지혜의 정수를 밝혀내려고 애썼습니다(Currow, 2015/2018, p... 더보기
그리스도인과 일중독 일중독증이란? 일중독증을 한마디로 정의하기란 어렵습니다. 장시간 그리고 열심히 일한다고 해서 다 일중독자는 아닙니다. 일중독자는 일을 만들어 내고 일을 찾아다니나 건전한 일 습관을 가진 자는 일을 즐기고 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건전한 자는 일하는 순간 일에 몰두하나 일중독자는 사교 활동이나 여가 시간에도 일을 하며 그들의 마음은 방황하고 일에 강박적으로 매달립니다. 즉 일중독자는 외적인 필요보다는 깊은 내적 심리적 기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일합니다. 예를 들면, 학비를 벌기 위해 두세 가지 직업을 동시에 가지거나, 자식들의 과외비를 마련하고 매달 들어가는 차나 아파트 융자금을 갚기 위해 오랜 시간 일하는 것이 일중독증은 아닙니다. 그러나 너무 열심히 일하기 때문에 가족이나 친구들을 .. 더보기
주일학교 운동(Sunday School Movement)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주일학교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주일학교라고 부르고 있는 제도는 18세기말 영국에서 로버트 레익스(Robert Raikes, 1735-1811)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물론 레익스 이전에 성경이나 교리문답을 주일에 가르친 학교가 있었지만 영속성이 없었습니다. 레익스의 주일학교는 일시적 교육현상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존속되어 유럽과 미국의 주일학교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러나 그 당시 주일학교는 현재 우리가 경험하는 주일학교와는 많이 달랐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국과 미국의 주일학교 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영국의 주일학교운동  18세기 말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났고 산업혁명으로 인해 영국이 급격히 도시화, 산업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산업화가.. 더보기
어린이 영적세계 (2) 어린이도 성인처럼 영적인 것을 이해할 수 있을까요? 어린이 영적세계(1)에서는 어린이 영성연구가 로빈슨  (Edward Rovinson)의 연구와 코울(Robert Coles)의 연구를 요약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어린이 영성연구가 헤이와 나이 그리고 베리만의 발견에 대해 살펴보고, 어린이 영성교육을 어떻게 시켜야 할지 적용해 보려 합니다. (1) 헤이 & 나이 (David Hey & Rebecca Nye)의 연구 헤이와 나이도 로빈슨이나 코울즈와의 연장선에서 어린이의 '영성적 경험'이 단순히 ‘종교적 경험'에 제한된 것으로 보기보다는 오히려 종교적 경험 이전에 이미 존재하는 요소라고 하는 점에 주목하였으며, 특별히 그것은 어린이의 생물학적, 혹은 생득적 요소라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들은 영성을 인간이.. 더보기
어린이 영적세계 (1) 어린이도 성인처럼 영적인 것을 이해할 수 있을까요? 2회에 걸쳐 어린이 영적 세계에 대해 탐구해 보려 합니다. 어린이 영적세계(1)에서는 어린이 영성연구가 로빈슨(Edward Rovinson)의 연구와 코울즈(Robert Coles)의 연구를 요약해 보려 합니다.  1. 어린이 영성에 대한 기존의 견해 골드만(Ronald Goldman)은 피아제(Jean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을 기초로 인간의 종교발달단계를 직관적 종교기, 구체적 종교기, 추상적 종교기 이렇게 세 단계로 나누었습니다. 피아제에 의하면 청소년기, 즉 형식적 조작기가 되어서야 비로소 인간은 상징이나 비유를 의식적으로 다룰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골드만은 피아제의 연구를 종교적 앎에 적용하여 종교적 지각이나 개념들은 직접적인 감각 데이터.. 더보기
이중직 목회자가 겪는 심리적 갈등 교회의 지원을 받고 있는 일반 목회자들에 비해 이중직 목회자들이 겪는 어려움은 더 많은데, 특히 시간 부족, 지원 부족, 정체성 혼란, 고독, 탈진, 죄책감, 낮은 자존감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중에 정체성 갈등과 정체성과 직, 간접으로 관계있는 죄책감과 낮은 자존감에 대해 탐구해 보고자 합니다. 1. 정체성의 갈등 이중직 목회자가 겪는 어려움 가운데 가장 큰 어려움은 아마도 정체성에 관한 것일 겁니다. 정체성이란 무엇입니까? 정체성에 대한 정의는 다양합니다. 정체성은 개인이 자기 자신에 대해 일관성 있게 지각하는 것과 사회가 개인에 대해 인식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Horowitz, 2012), 사람들이 "당신은 누구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말합니다. 또한 정체성은 안정적이며 동시에 역동적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