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피그말리온 (Pygmalion) 효과 1. 피그말리온 (Pygmalion) 효과란?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로, 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의 "메타모르포시스"(Metamorphoses)에 등장합니다. 피그말리온은 키프로스 출신의 조각가로 자신이 만든 여인상과 사랑에 빠집니다. 조각상의 아름다움에 반한 그는 신들에게 그 조각상과 닮은 아내를 달라고 간청합니다. 신들은 피그말리온의 요청을 들어주었고 조각상이 살아 있는 존재가 됩니다. 이 신화의 피그말리온의 이름은 후에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불리는 심리학적 개념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다른 사람에 대한 기대나 믿음이 그 사람의 행동과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이는 긍정적인 기대가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할 수 있음을 말합니다... 더보기
명품의 조건 로키산맥 해발 3000미터 높이에 수목한계선인 지대가 있다고 합니다. 이 지대의 나무들은 매서운 바람으로 인해 곧게 자라지 못하고 무릎을 꿇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 나무들은 열악한 조건이지만 생존을 위해 무서운 인내를 발휘하며 지냅니다.  그런데 세계적으로 가장 공명이 잘 되는 명품 바이올린은 바로 이 나무로 만든다고 합니다. 아름다운 영혼을 갖고 인생의 절묘한 선율을 내는 사람은 아무런 고난 없이 좋은 조건에서 살아온 사람이 아니라 온갖 역경과 아픔을 겪어 온 사람입니다. 여운학외 중에서 더보기
로시메드레(Rhosymedred) 전주곡 Vaughan Williams (1872-1953)의 Rhosymedre 전주곡입니다. 웨일즈의 찬송가 곡조에 기반을 둔곡으로 로시메드레는 웨일즈의 마을 이름입니다. 이 곡은 다이애나 비의 장례식과 그녀의 두 아들의 결혼식에도 연주되었습니다. 더보기
여호수아 11장 본  문 11:1 하솔 왕 야빈이 이 소식을 듣고 마돈 왕 요밥과 시므론 왕과 악삽 왕과 11:2 및 북쪽 산지와 긴네롯 남쪽 아라바와 평지와 서쪽 돌의 높은 곳에 있는 왕들과 11:3 동쪽과 서쪽의 가나안 족속과 아모리 족속과 헷족속과 브리스 족속과 산지의 여부스 족속과 미스바 땅 헤르몬 산 아래 히위 족속에게 사람을 보내매 11:4 그들이 그 모든 군대를 거느리고 나왔으니 백성이 많아 해변의 수많은 모래 같고 말과 병거도 심히 많았으며 11:5 이 왕들이 모두 모여 나아와서 이스라엘과 싸우려고 메롬 물 가에 함께 진쳤더라 11:6 여호와께서 여호수아에게 이르시되 그들로 말미암아 두려워하지 말라 내일 이맘때에 내가 그들을 이스라엘 앞에 넘겨주어 몰살시키리니 너는 그들의 말 뒷발의 힘줄을 끊고 그들의 병.. 더보기
여호수아 10장 여호수아가 기브온을 구하다 여리고와 아이성을 정복하여 가나안의 중심에 교두보를 확보한 여호수아는 여세를 몰아 남쪽과 북쪽 지역을 차례로 정복합니다. 여호수아서에서 가장 유명한 사건인 ‘해와 달이 멈추는’ 기적을 담고 있는 남쪽 지역 정복 이야기(10:1-43)와 북쪽 지역 정복 이야기(11:1-23)는 여러 가지 공통점을 지녔습니다. 두 이야기 모두 이스라엘을 대적하기 위해 연합전선을 구성하고 있는 가나안 왕들의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10:1 기브온은 싸움을 하는 대신 여호수아에게 항복했습니다. 그들의 전향은 예루살렘 왕을 격분시켰습니다. 예루살렘 왕은 기브온을 공격하기 위해 4명의 이웃왕들과 연합을 결성했습니다. 여리고와 아이성의 멸망은 가나안의 중심부가 점령되기 쉽도록 만들었습니다. 팔레스타인의 중.. 더보기
여호수아 9장 본 문 9:1 이 일 후에 요단 서쪽 산지와 평지와 레바논 앞 대해 연안에 있는 헷 사람과 아모리 사람과 가나안 사람과 브리스 사람과 히위 사람과 여부스 사람의 모든 왕들이 이 일을 듣고9:2 모여서 일심으로 여호수아와 이스라엘에 맞서서 싸우려 하더라9:3 기브온 주민들이 여호수아가 여리고와 아이에게 행한 일을 듣고9:4 꾀를 내어 사신의 모양을 꾸미되 헤어진 전대와 헤어지고 찢어져서 기운 가죽 포도주 부대를 나귀에 싣고9:5 그 발에는 낡아서 기운 신을 신고 낡은 옷을 입고 다 마르고 곰팡이가 난 떡을 준비하고9:6 그들이 길갈 진영으로 가서 여호수아에게 이르러 그와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이르되 우리는 먼 나라에서 왔나이다 이제 우리와 조약을 맺읍시다 하니9:7 이스라엘 사람들이 히위 사람에게 이르되 너.. 더보기
신학적 관점에서 본 지혜 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는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추구 가운데 지혜를 추구하는 것이 가장 완전하고 숭고하며 유익하고 즐거움을 주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 이유로, 지혜의 추구에 자신을 바칠 때 인간은 더 완전해지고, 만물을 지혜로 만드신 하나님의 모습에 가장 가깝기에 더 숭고하며, 지혜에 의해 불멸의 영역에 도달하기 때문에 더 유용하고, 지혜의 대화에는 쓴맛과 피곤함이 없고 기쁨과 즐거움만이 있기 때문이라고 그는 설명했습니다(Aquinas, 2005, p. 19). 인류는 수천 년 동안 지혜를 갈망해 왔습니다. 고대의 작가들은 격언집과 우화집 속에 지혜를 담아두려고 애썼고 현대의 학자들은 그 속에 담긴 지혜의 정수를 밝혀내려고 애썼습니다(Currow, 2015/2018, p... 더보기
그리스도인과 일중독 일중독증이란? 일중독증을 한마디로 정의하기란 어렵습니다. 장시간 그리고 열심히 일한다고 해서 다 일중독자는 아닙니다. 일중독자는 일을 만들어 내고 일을 찾아다니나 건전한 일 습관을 가진 자는 일을 즐기고 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건전한 자는 일하는 순간 일에 몰두하나 일중독자는 사교 활동이나 여가 시간에도 일을 하며 그들의 마음은 방황하고 일에 강박적으로 매달립니다. 즉 일중독자는 외적인 필요보다는 깊은 내적 심리적 기아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일합니다. 예를 들면, 학비를 벌기 위해 두세 가지 직업을 동시에 가지거나, 자식들의 과외비를 마련하고 매달 들어가는 차나 아파트 융자금을 갚기 위해 오랜 시간 일하는 것이 일중독증은 아닙니다. 그러나 너무 열심히 일하기 때문에 가족이나 친구들을 .. 더보기